1. 문제에 대한 배경설명
EVM(Earned Value Management)은 프로젝트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기법입니다. 프로젝트의 비용(Cost)과 일정(Schedule), 작업범위(Scope)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미래 성과를 추정합니다. 건설뿐 아니라 IT, 국방 등의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됩니다. EVM는 세 가지 구성요소가 있습니다.
PV(Planned Value)와 EV(Earned Value), AC(Actual Cost)라는 개념입니다.
참고로 금전적 가치는 관리기준에 따라 매출 또는 수금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 PV(Planned Value, 계획가치) : 특정 시점까지 완료하기로 계획된 작업의 가치를 금액으로 표현한 값. 프로젝트 일정과 예산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기준선 역할을 합니다. 매출계획이나 기성불 사업의 수금계획을 생각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EV(Earned Value, 획득가치) : 현재까지 실제로 완료된 작업의 가치를 금액으로 나타낸 값으로 실제 발생된 매출 또는 수금액을 생각해보시면 되겠습니다.
- AC(Actual Cost, 실제비용) : 특정 시점까지 프로젝트에 실제로 지출된 비용. 누계집행원가입니다.
EVM의 핵심지표에는 SPI와 CPI가 있습니다.
-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는 일정성과지수로 산출하는 방법은 획득가치를 계획가치로 나눈 값 입니다. (SPI = EV / PV) 흔히 말하는 공정률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일정 대비 진척도를 측정하며, 1보다 크면 일정보다 앞서고, 1보다 작으면 지연 중임을 의미합니다.
- CPI(Cost Performance Index)는 원가성과지수로 획득가치를 실제비용으로 나눈 값 입니다. (CPI = EV / AC) 획득가치대비 투입된 비용을 산출하여 1보다 크면 예산을 절약하고, 1보다 작으면 예산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비용 효율성을 측정하며, 1보다 크면 예산 절약, 1보다 작으면 비용 초과를 나타냅니다.
EVM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일정 관리 : 공정별 계획 대비 실제 진도를 측정하여 지연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비용 관리 : 예산 집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초과 비용을 조기에 탐지. 나아가 프로젝트 완료시점(EAC) 총비용을 예측하여 리스크 사전관리 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및 의사소통 : 발주처, 시공사, 협력업체 간 객관적인 성과 데이터를 공유하여 의사소통 도구로 활용 가능합니다.
EVM의 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 통합적 관리 : 비용과 일정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상태를 파악가능합니다.
- 조기 경고 : 일정지연, 비용초과의 문제를 사전에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습니다.
- 예측 가능성 : 완료시점의 비용을 고려하여 현재 자원의 재배치나 계획의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성과 기반 평가 :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한 프로젝트의 평가가 가능합니다.
결론
- EVM은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관리 도구로, 일정과 비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자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계획된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문제풀이
1. 정의
① EVM(Earned Value Management)은 프로젝트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기법
②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는 일정성과지수로 획득가치(Earned Value)를 계획가치(Planed Value)로 나눈 값으로 일정대비 진척도를 측정함
③ CPI(Cost Performance Index)는 원가성과지수로 획득가치(Earned Value)를 실제비용(Actual Cost)로 나눈 값으로 비용 효율성을 측정함
2. SPI와 CPI 산출방법과 활용방법
① SPI = EV/PV (SPI > 1 공정호조, SPI < 1 공정지연, SPI=1 계획동일)
② CPI = EV/AC (CPI > 1 원가절감, CPI < 1 원가초과, CPI=1 계획동일)
3. EVM (SPI, CPI) 활용방안과 효과
① 일정 및 비용관리 : SPI와 CPI를 통해 공정진행과 예산집행의 적절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② 조기경고 : 일정지연에 대한 조기경고로 사전에 대안을 검토할 수 있음
③ 추정원가관리 : 완성시점(EAC) 추정원가를 검토하여 예산 절감 노력 또는 자원 재배치, VE를 수행
④ 정량화된 성과평가와 참여자간(발주자, 도급자, 하도급자) 의사소통
4. 결론
EVM과 SPI, CPI는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관리 도구로, 일정과 비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음. 이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자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계획된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용어 기출문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5번] 타일공사에서 오픈타임(Open Time)과 가사시간 (0) | 2025.03.20 |
---|---|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4번] 유리의 구성요소 중 단열 간봉 (0) | 2025.03.19 |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1번] 철골부재 중 윈드컬럼(Wind Column) (0) | 2024.10.27 |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2번] BIM 협업 (0) | 2024.10.27 |
[건축시공기술사 134회 용어 3번] 공공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산정기준 (4)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