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에 대한 배경설명
타일공사에서의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은 타일 접착제의 경화시간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은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오픈타임 : 타일접착제를 바닥이나 벽에 바른 후 접착제가 타일을 붙일 수 있을 정도록 작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뜻합니다. 즉, 접착제를 바르고나서 타일을 붙이기까지 허용되는 최대시간을 의미 합니다. 이 시간이 지나면 접착제가 경화되어 타일이 제대로 붙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가사시산 : 가사시간은 접착제를 물 등과 섞거나 개봉하여 혼합물 상태로 만들고 난 뒤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 합니다. 주로 2액형 접착제인 에폭시, 레진 또는 시멘트 몰탈과 같이 혼합하여 접착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은 아래와 같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 환경조건 (온도, 습도, 통풍) : 높은 온도에서는 경화시간이 빨라지기 때문에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이 짧아집니다. 낮은 온도에서는 반대입니다. 습도가 높으면 수분 증발이 늦어져 오픈타임이 조금 늘어날 수도 있으나 지나치게 높으면 경화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낮은 습도에서는 수분이 빠르게 빠져나가 시간이 줄어듭니다. 그리고 강한 바람이나 공기 흐름이 있는 경우도 접착제가 빠르게 마를 수 있어 시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 접착제의 종류와 성분 : 첨가제에 따라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을 늘린 제품도 많지만 일반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종류 | 시멘트몰탈 | 본드류 |
오픈타임 | 10분 | 20분 |
가사시간 | 60분 | 60분 |
- 바탕면상태 : 다공질 바탕면은 접착제의 수분을 빨아들여 오픈시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표면온도가 뜨겁거나 차가우면 환경조건의 온도와 같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픈타임과 타일 형상에 따른 부착강도 관계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을 고려한 시공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작업속도 조절 : 접착제를 바른 후 오픈타임 내에 타일을 부착해야 하므로, 한 번에 너무 넒은 면적에 접착제를 바르면 안됩니다. 타일을 붙이는 속도에 맞춰 적당한 면적씩 나눠서 발라야 합니다.
- 작업환경 관리 : 온도와 통풍에 따라 경화시간이 줄어들지 않도록 작업장 관리를 해야 합니다. 야외작업인 경우에는 적합한 계절과 기후를 고려해야 합니다.
- 바탕면과 타일 상태 점검 : 바탕면의 성질에 따라 접착제 두께를 조절하여 오픈타임을 확보합니다.
- 접착제 혼합을 가사시간 동안 소진 할 수 있는 작업량을 고려하여 진행합니다. 너무 많은 양을 혼합해 두면 가사시간이 경과하여 접착력이 떨어지고 굳어서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2. 문제풀이
1. 정의
① 오픈타임은 구조체 표면의 바탕면 또는 타일면에 접착모르타르나 접착제를 얇고 균일하게 발라 타일 붙이기에 적합한 상태가 확보가능한 최대 한계 시간이다.
② 가사시간은 접착모르타르나 접착제를 혼합한 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다.
2.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
① 환경조건 : 고온이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될 수록 접착제의 경화속도가 빨라져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이 줄어든다.
② 접착제의 종류
종류 | 시멘트몰탈 | 본드류 |
오픈타임 | 10분 | 20분 |
가사시간 | 60분 | 60분 |
③ 바탕면의 상태 : 다공질일수록, 바탕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가 되어 오픈타임과 가사시간이 줄어든다.
3. 오픈타임과 타일 형상에 따른 부착강도 관계
4. 시공시 유의사항
① 오픈타임과 작업량을 고려한 속도로 바탕면에 접착제를 바른다.
② 가사시간동안 작업 가능한 만큼 접착제를 혼합한다.
③ 적절한 온도와 통풍에 환경을 만든 뒤 작업한다. 야외 작업인 경우는 계절과 날씨를 고려한다.
④ 바탕면과 타일 상태를 점검하여 접착제 두께를 조절하여 오픈타임을 확보한다.
'용어 기출문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7번] 초평탄 콘크리트 (0) | 2025.03.25 |
---|---|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6번] 타워크레인 인상(Telescoping) 시 안전점검 사항 (0) | 2025.03.25 |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4번] 유리의 구성요소 중 단열 간봉 (0) | 2025.03.19 |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3번] EVM(Earned Value Management)에서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와 CPI(Cost Performance Index) (0) | 2025.03.18 |
[건축시공기술사 133회 용어 1번] 철골부재 중 윈드컬럼(Wind Column) (0) | 2024.10.27 |